top of page
홈 > 시공사례 > '리테이닝백' 사면보호•복구 > 급경사구간
시공사례
CONSTRUCTION
'리테이닝백(식생토낭)' 사면보호•복구
공법에 정성을 더하는 기업 greenfox

![]() | ![]() |
---|---|
![]() | ![]() |
![]() | ![]() |
![]() |
대청댐 물문화관 사면
충남 대전시 대청댐 물문화관 공원 내 사면 슬라이딩 구간 리테이닝백(식생토낭)으로 복구 사진입니다.모암 위에 풍화토가 쌓인 경사도 55°~65°의 급경사 사면으로 방치할 경우 역구배가 발생하여 대규모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진에서 공사중 한박눈이 오는 모습을 볼 수 있듯이 12월 초에 공사 완료하고 다음해 봄 녹화상태 보고 사진입니다.
시공 과정(11)
![]() | ![]() |
---|---|
![]() | ![]() |
![]() | ![]() |
![]() | ![]() |
![]() | ![]() |
![]() |
준공 후 녹화과정(7)
덕유산 무주리조트 스키장 사면
전북 덕유산 무주리조트 설천봉 스키장 사면 복구공사 중 일부구간. 15m 높이에 급경사의 절토구간. 노출 지반의 풍화가 심해 다량의 낙석이 발생한 구간으로 리테이이닝백(Retaining bag ; 식생토낭)으로 복구하였습니다.
시공 과정(7)
![]() | ![]() |
---|---|
![]() | ![]() |
![]() | ![]() |
![]() |
준공 후 녹화과정(4)
![]() | ![]() |
---|---|
![]() | ![]() |
서울 마포구 주거지 구간 내 급경사 사면
공사 구간으로는 협소하나 급경사 사면의 위아래가 거주지로서 사면의 안정성이 어느 구간보다 중요한 곳입니다. 오랜 기간 노출된 사면으로 풍화가 많이 진행되어 표층의 토사 슬라이딩이 진행되고 있는 구간입니다. 급경사 사면의 특수성과 공사의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사면의 층따기(bench cut)를 하여 기초 지반을 확보하고 억지말뚝을 사용하면서 리테이닝백(식생토낭)을 설치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은 준공 1개월 후의 사진이라 초화류가 발아한지 얼마되지 않아 녹화상태가 조금 밖에 진전되지 않았습니다. 이후 녹화 상태 사진을 차후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시공 과정(9)
![]() | ![]() |
---|---|
![]() | ![]() |
![]() | ![]() |
![]() | ![]() |
![]() |
준공 후 녹화과정(5)
![]() | ![]() |
---|---|
![]() | ![]() |
![]()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