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제품소개 > 리테이닝백 > 사면용 공법소개
제품소개
PRODUCTS

리테이닝백(식생토낭)
공법에 정성을 더하는 기업 greenfox
공법 개요
Summary of Method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이 사면용으로 사용될 경우의 기본원리는 노출된 지표면의 토사 대신 '토사충진 백'이 대신하여 원지반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자연상태의 사면은 수만년 이상의 세월 동안 자연다짐으로 균형을 이뤄 완경사건 급경사건 안정되어 있지만 산불, 집중호우, 인간의 난개발 등으로 지표층이 유실되거나 지반의 불균형이 초래되면서 붕괴현상이 발생합니다.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은 지표면의 토사를 약 40kg 내외의 하중으로 분리•축적시켜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식물의 발아를 촉진하여 지표층을 원천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을 쌓아 원지반을 보호하여도 집중호우 등으로 백(bag) 배후에 물이 고여 수압이 발생하거나, 백(bag)에 수분이 포화상태를 이룰 경우 전단력이 높아져 쌓아올린 '리테이닝백' 역시 붕괴될 수 있습니다.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 배후의 수압을 방지하고, 쌓아올린 식생백의 자하중을 분리•분산하여 붕괴되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현장조건에 부합하는 안전율을 계산하여 기초부, 배후의 배수필터층, 억지말뚝, 토사다짐 등 그린폭스 시스템을 적용합니다.
사면안정 시스템
System of Slope stability
안전율 검토 :
Safety factor
사면 경사도, 원지반 토질조사(토립자간 내부 마찰각),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 하중(물의 포화상태) 등을 고려하여 억지말뚝의 설치 개수와 규격(인장강도)을 결정합니다.

배수층 설치 :
drainage layer
자연사면의 경우 일반적으로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 배후에 골재를 이용한 배수 필터층을 설치하지만, 특히 용출구간이나 지표수 집중 구간의 경우 물이 포화되지 않도록 필터층의 두께와 수평배수공 개수를 늘려서 조절합니다.

억지말뚝 설치 :
Antislide pile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 설치구간에 철근 또는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억지말뚝을 타설하는 경우가 있는데 설치 목적은 지표층과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해서 입니다. 이때 억지말뚝의 규격선택은 지표층의 토질, 경사도 등을 감안한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는 규격이어야 합니다.

식물의 녹화 :
Revegetation
'리테이닝백(식생토낭,식생백)' 표면에 손파종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고압의 살수차를 이용한 하이드로시딩(씨드스프레이)을 겸하기도 합니다. 파종할 식물의 종자는 그 지역의 기후, 토질, 자생식물 분포 등을 고려하여 자연생태복원기사가 추천합니다.




왼쪽(모바일:위)부터 충북괴산군 산막이옛길, 경기도 광주 도로사면, 경기도 양평군 철로변 사면, 강원도 원주시 오크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