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홈 > 시공사례 > 와이어앵커 식생매트 > 하천 사면보호
시공사례
CONSTRUCTION
와이어앵커 식생매트
공법에 정성을 더하는 기업 greenfox

전북 임실군 섬진강(9) : 여름철 장마시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른 구간
'와이어앵커 식생매트'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와이어앵커' 고정법이 든든하여 물이 닿는 하천바닥(하상)까지 식생매트를 설치한 사례입니다. 천변바닥을 1m 터파기 한 후 식생매트를 와이어앵커로 고정한 후 복토한 흔적을 1,2번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녹화상태의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충북 영동군 금강(9) : 상류 댐의 수문을 열면 유량이 급속히 늘고 유속이 빨라지는 구간
금강의 사면보호를 위해 돌망태를 설치하다가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판단하에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로 설계변경한 구간입니다. 사진의 왼편에 돌망태가 설치된게 보이고, 오른쪽으로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를 설치한게 보입니다.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는 매트를 고정시키는 인발력이 뛰어나 빠른 유속과 높은 소류력에도 견뎌 돌망태나 호안블럭을 대체하는 제품입니다.
![]() | ![]() |
---|---|
![]() | ![]() |
![]() | ![]() |
![]() | ![]() |
대전시 유동천(3) :
대전시 유동천 '와이어앵커 식생매트'에 코스모스를 비롯한 야생화가 만발하였습니다.
식생매트를 설치해본 경험이 있는 분들 중에 식생매트에는 꽃이 피지 못한다고 생각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그건 식생매트에 꽃이 피지 못하는게 아니라 식물의 발아시 떡잎의 구조와 생태를 모르고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외떡잎식물인 잔디만 피어나게 됩니다.
식물의 떡잎과 발아과정을 이해하고 식생매트를 설치할 경우 아래 사진과 같이 야생화가 만발할 수 있습니다.
![]() | ![]() |
---|---|
![]()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