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홈 > 시공사례 > 와이어앵커 식생매트 > 하천 사면보호
시공사례
CONSTRUCTION
와이어앵커 식생매트
공법에 정성을 더하는 기업 greenfox

전남 나주시 유곡천(9) : 호안블럭 대신 '와이어앵커 식생매트'
7월 한달 동안 두차례나 집중호우를 맞아 큰 피해를 입었던 나주시. 그 중에서도 빠른 유속과 높은 소류력으로 피해가 컸던 유곡천 정비사업에 '와이어앵커 식생매트' 사면보호. 특징적인 것은 기존의 호안블럭의 설치를 멈추고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를 설치한 점입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유속을 감속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가속을 붙이는 경향이 있어 하류지점의 피해를 키우는 경향이 있습니다.
![]() | ![]() |
---|---|
![]() |
서울 중량천(2) :
여름 집중호우 기간이면 재난 피해가 컷던 중량천이 이제는 지속적인 정비사업을 안정되면서 서울 시민들의 울륭한 휴식처가 되었습니다. 역시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로 사면보호
![]() | ![]() |
---|
충북 제천시 하소천(15) : 스톤네트 설치구간에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로 설계변경
제천시 도심을 가로지르는 하소천은 의림저수지의 수문을 열 때마다 유량과 유속으로 하천변이 훼손되던 구간입니다. 경사면과 둔치에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를 설치하였지만 여기선 경사면만 집중적으로 소개드립니다.
경사면에 갑비싼 스톤네트를 설치하다 중단하고 '와이어앵커 식생매트'를 설치하여 5년이 넘은 지금 현재 녹화된 사진을 소개드립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ottom of page